2016. 10. 30. 18:47 문학관 산책/피천득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매표소 옆에 있는 금아 피천득 선생 문학관 관련 자료를 정리해 보았다. 금아 피천득 선생의 서재 모습이다. 책상 위에는 선생께서 사용하셨던 여러 가지 물품들이 정리되어 있다. 금아 피천득 선생의 침실 모습이다. 금아 피천득 선생의 시를 문학관 벽에 게시한 모습이다. 금아 피천득 선생 문학관 내부의 모습이다. 금아 피천득 선생의 약력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이다. 지난 포스팅과 이번 포스팅까지 해서 금아 피천득 선생 기념관(문학관)에 있는 자료를 정리해 보았다. 문학관의 크기는 큰 편은 아니지만, 금아 피천득 선생과 관련된 자료들이 알차게 구비되어 있었다.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아야겠다.
2016. 10. 29. 22:16 문학관 산책/피천득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입구 옆에 있는 금아 피천득 기념관 관련 자료를 정리해 보았다. 금아 피천득 문학관 입구이다.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매표소 바로 옆에 있다. 금아 피천득 선생의 일대기를 요약해서 제시한 자료이다. 금아 피천득 선생의 프로필이다. 금아 피천득 선생 친필 엽서이다. 금아 피천득 선생의 친지분들의 편지이다. 금아 피천득 선생의 가족의 편지이다. 금아 피천득 선생의 낙관이다. 금아 피천득 선생꼐서 사용하셨던 각종 물건들이다. 금아 피천득 선생의 여러 저서이다.
2016. 7. 27. 05:50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충남 당진에 있는 심훈 기념관에서 볼 수 있는 자료 중 언론인으로서의 활동과 관련성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언론인 심훈 선생님에 대한 설명이다. 심훈 선생님 명함이다. 1924년 심훈 선생님 등이 동인지로 창간한 와 관련된 간행 보도기사이다. 심훈 선생이 후원하였던 '따리아회'의 공연 모습이다. 세계문학전집 제38권이다. 기자시절의 심훈 선생님 행적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설명이다.
2016. 7. 23. 17:55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충남 당진에 있는 심훈 기념관에서 심훈 선생님 독립운동 관련 자료를 다루어보았다. 독립운동에 대한 굳은 의지를 보여주는 자료 1923년 이라는 작품 중에서... 심훈 선생님의 출생과 성장에 대한 자료이다. 심훈 선생님의 본명은 심대섭이다. 심대섭의 성장이기라는 코너로 짜여진 자료이다. 심훈 선생님 가계도이다. 1919년 3.1운동 참여에 대한 자료이다. 1920년부터 1924년 동안의 일대기를 다룬 자료이다. 1925년부터 1927년까지의 자료로 문학인과 영화인으로 활동했던 것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이다. 1928년부터 1932년까지 영화저널가로서 활동했던 모습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이다.
2016. 7. 22. 06:05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충남 당진에 있는 심훈 기념관에서 볼 수 있는 심훈 선생님 관련 자료를 정리해 보았다. 1930년대 조선일보에 연재한 심훈 선생의 소설 이다. 6.10 만세운동의 큰 흐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설명문이다. 6.10 만세 시위대를 해산시키고 있는 일제의 기마병 사진이다. 6.10 만세운동의 시위대 사진이다. 조선민요집 현대일본문학전집 33편 세계문학전집 제10권 일본 중국 현대사상연구 심훈 선생 활동 보도 기사
2016. 7. 21. 06:05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충남 당진에 있는 심훈 기념관에서 볼 수 있는 심훈 선생님 관련 자료를 다루어보았다. 1929년 3월 20일과 21일 조선일보에 연재된 이라는 장편소설이다. 선언, 보헤미안의 노래, 조선유기 자료이다. 인도혁명, 만몽론, 독립정신 자료이다. 비를빈의 발전, 서상, 일본론 자료이다. 신문에 연재되었던 소설 와 관련된 삽화들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소설 의 연재 신문과 삽화 관련 자료이다.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던 과 의 삽화이다. 안석주 선생님이 그린 것으로 나와 있다. 1929년 당시 여러 문인들과 함께 한 사진이다. 1933년 동료문인들과 함께 한 사진이다. 검열본과 검열본 자료이다. 1930년 10월 29일부터 조선일보에 연재했지만 중간에 게재 정지를 당한 관련 ..
2016. 7. 21. 05:55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충남 당진에 있는 심훈 기념관에서 심훈 선생님 관련 자료를 다루어보았다. 원고이다. 원고이다. 동아일보에 연재되었던 127회 분량의 이다. 현대사상각론과 최신사조전망이라는 자료이다. 유물사관 경제사와 중간계급의 사회학이라는 자료이다. 1936년 동아일보에 게재한 라는 자료이다. 조카들과 함께 사진 있는 사진이다. 친구들과 함께 있는 사진이다. 심훈 선생님이 주연 각색한 영화 와 관련된 자료이다. 이 영화가 사영되었던 단성사 사진도 있다. 심훈 선생님의 가족 사진이다.
2016. 7. 20. 06:13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충남 당진에 있는 심훈 기념관에서 볼 수 있는 최용신 선생의 자료를 살펴보았다. 최용신 선생은 에 등장하는 채영신의 실존 인물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1926년 신문예일기다. 인주승 님께서 기증한 소설 원본 원고본이다. 월간잡지 1935년 5월호 자료이다. 최용신 선생의 업적을 알 수 있는 라는 글이다. 최용신 선생의 생애에 대해 다룬 자료이다. 와 최용신의 생애라는 자료이다. 최용신 선생의 신앙과 이와 관련된 사업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그동안 라 하면, 심훈 선생이라는 작가를 우선 떠올렸다. 그러나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있게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2016. 7. 20. 06:06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심훈 선생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에 등장했던 인물들의 자료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보았다. 소설 속의 주인공이다. 소설에서 박동혁이라는 인물이 심재영 선생이라고 보는 자료이다. 소설에서 채영신이라는 인물이 실제 최용신이라고 보는 자료이다. 심재영 선생의 생활계획 일과표이다. 심재영 선생의 명함으로 보인다. 의 주인공 인물들이 실존했던 인물을 참고해서 설정했다는 자료를 보고 나니 를 다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016. 7. 20. 05:59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심훈 선생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와 당진에 있을 당시 거처했던 필경사 관련 자료를 정리해 보았다. 청목 출판사에서 간행된 이다. 하서 출판사에서 간행된 이다.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논술과 수능시험 필독서로 선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해송 출판사에서 간행된 어린이용 이다. 문화예술출판사에서 간행된 이다. 영화 시나리오다. 위에서 살펴보았던 자료들이 한데 모인 모습을 살펴본다. 필경사 부근 부고길 옛 전경 사진이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내용을 통해서 심훈 선생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를 여러 출판사에서 다양한 계층의 독자들이 접할 수 있도록 작품을 간행했던 점이 흥미로웠다.
2016. 7. 20. 05:52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충남 당진에 있는 심훈 기념관에서 볼 수 있는 심훈 선생의 대표작 와 관련된 자료들을 다루어보았다. 농촌계몽과 의 연관성에 대해 설명한 글이다. 이다. 이 부분만을 확대해서 살펴보았다. 옛 필경사의 모습이다. 다양한 판본의 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심훈 선생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와 관련된 자료들을 간단하게 다루어보았다. 의 판본이 달라짐에 따라 내용이나 문체의 변화 등이 있었는지에 대해 궁금하기도 하다.
2016. 7. 20. 05:45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충남 당진에 있는 심훈 기념관 자료를 정리해 보았다. 심훈 선생님의 작품만이 아니라, 이기영의 서화 등과 같은 자료도 만나볼 수 있다. 고금의협기관 권1이다. 백제고도 부여 고적명승 안내기이다. 최남선의 청춘 4권이다. 주요한의 한문 대한지지이다. 경성의 지리역사이다. 고금의협기관 3권이다. 국한문호용체로 장지연이 편찬한 동국역사 1권이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자료들은 심훈 선생이 직접 집필했던 자료라기보다는 아마도 심훈 선생이 소장했던 자료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2016. 5. 27. 18:55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충남 당진에 있는 심훈 기념관 자료 중 독립운동과 관련된 자료를 정리해보았다. 기념관 내에 있는 자료 사진을 올려본다. 건국 훈장 애국장이다. 심훈 선생님의 차남 심재광 씨가 건국 훈장 애국장을 받고 있는 모습이다. 심훈 선생님께서 감옥에서 어머님께 올린 글이다. 1919년 3월 1일 만세운동으로 인해 재판을 받은 심훈 선생님이 경성지방법원에서 받은 판결문이다. 판결문 내용이다. 기미독립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알고 있는 듯 하면서도, 잘 알지 못할 수도 있는 내용이다. 기념관을 관람하기 전에 읽어보면 유익하다. 감옥을 재현한 장소도 마련되어 있다. 감옥 모형물의 철문은 딱딱한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부드럽운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직접 안에 들어갈 수도 있다. 감옥 모형물 벽면에..
2016. 5. 26. 06:41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충남 당진에 있는 심훈 기념관 옥상 풍경을 포스팅 해보았다. 심훈 기념관 입구를 정면으로 바라보면 심훈 선생님 동상이 보인다. 저 곳이 바로 2층 옥상이다. 1층 기념관 입구는 계단을 따라서 아래로 내려가면 나온다. 심훈 선생님의 대표작 이다. 이다. 2층 옥상 오른쪽 모습이다. 각도를 조금 더 틀어서 오른쪽의 모습을 더 담아보았다. 2층 옥상에서 주차장 방면을 바라보았을 때의 모습이다. 2층 옥상의 왼쪽 모습을 담아보았다. 최근 대부분의 문학관, 기념관, 박물관 등은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본관만이 아니라, 본관에 입장하기까지 정원이나 주변 풍경까지 관리를 잘 하고 있다. 심훈 기념관도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는데, 기념관에 방문한다면 꼭 한 번 올라가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본다.
2016. 5. 19. 18:48 문학관 산책/심훈 문학관
오늘 포스팅에서는 충북 당진에 있는 심훈 기념관 외부 풍경에 대해 해보았다. 심훈 기념관 정원에는 책을 읽고 있는 동상이 있다. 실제로 보면 크기가 꽤 크다. 심훈 기념관 정원에는 중간 중간 꽃이 심어져 있다. 3~4월에 피는 꽃과는 달리 5월의 꽃은 나름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심훈 선생님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의 시비도 세워져 있다. 시비의 뒤에 있는 건물은 상록수 문화관이라는 곳이다. 5월의 햇살을 받으며 푸르게 푸르게 자라나는 소나무도 여러 그루가 있다. 당진에 있을 때 머물렀던 필경사이다. 문화 해설사의 설명을 관람객들이 듣고 있다. 정원에는 상록수길 안내도, 당진 필경사, 심훈 기념관 안내도에 대한 안내물이 게시되어 있다. 상당히 잘 만들어진 조각상이 또 있다. 심훈 기념관 정면 모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