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8. 19. 05:38 경기 지역 문화 산책/의왕 철도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철도박물관 내부 2층에서 볼 수 있는 자료 몇 가지를 다루어보았다. 선로 보수작업의 변천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이다. 수동식 기계 신호의 원조이다. 제시된 설명에 따르면, 1942년 경부선 개통 당시 천안역에 설치하여 1986년까지 사용된 것이라고 한다. 철관 조정기와 관련된 자료이다. 파이프 캐리어이다. 철도 통신시설의 변천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이다. 철도박물관 2층 복도에 있는 KTX 모형이다. 실제 KTX 크기와는 많은 차이가 있지만, 모형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는 크기가 어마어마했다.
2016. 8. 14. 13:43 경기 지역 문화 산책/의왕 철도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철도박물관 1층 내부에 있는 철도 관련 자료를 다루어보았다. 부산 정거장 모형이다. 옛날 서울역의 모습과 매우 비슷하다. 철도국 지정점 차 주전자이다. 1928년 10월 1일 함경선 전통을 기념하는 기념품이다. 함경선은 원산에서 상삼봉까지의 구간을 이르는 것 같다. 1942년 4월 1일 중앙선 전통을 기념하는 기념품이다. 기념품은 담배갑과 재떨이다. 1968년 2월 7일 경전선 개통을 기념하는 기념품이다.
2016. 8. 13. 06:20 경기 지역 문화 산책/의왕 철도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철도 박물관 내부 자료를 정리해 보았다. 경인선철도의 역사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이다. 경부, 경의선 철도의 역사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이다. 경부선 철도의 역사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이다. 세계 최초의 전기기관차 모형이다. 증기 기관차 모형이다. 디젤 전기 기관차 모형이다. 전후동력형 디젤 동차 모형이다. 전기 기관차 모형이다. 전기 동차 모형이다.
2016. 8. 12. 13:17 경기 지역 문화 산책/의왕 철도박물관
지난 포스팅까지는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철도박물관 외부에 있는 자료를 다루어보았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내부 자료를 다루어볼 예정이다. 철도박물관 내부 1층에 입장하면 파시1-4288 스팀기관차가 있다. 오늘날의 기치와는 모양새가 다른 부분이 있지만 고풍스러운 느낌이 있기에 나름 멋있다. 철도역사실이라는 곳이다. 이곳에서는 조선조 후기의 교통수단과 같은 자료들이 구비되어 있다. 마패이다. 마패에는 말이 그려져 있는데, 그려져 있는 말의 수에 따라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달랐다. 철도창설 초기에 공헌한 인물이다. 철도박물관 내부 자료실에는 이번 포스팅에서 다룬 것 이외에도 다양한 자료들이 많이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다루어야겠다.
2016. 8. 11. 05:32 경기 지역 문화 산책/의왕 철도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철도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대통령 전용 객차 자료를 다루어보았다. 대통령 전용객차 출입문이다. 대통령 전용 객차에 대한 설명이다. 이 설명에 따르면, 일본에서 제작하고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공장에서 조립한 승객용 객차로 1955년 대통령 전용으로 개조되었다고 한다. 한국 최초의 대통령 기차라는 문구와 함께 사진 몇 장이 제시되어 있다. 기차 앞 부분에 있는 장식이다.
2016. 8. 10. 05:37 경기 지역 문화 산책/의왕 철도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철도박물관에서 주한 유엔군 사령관 전용 객차 사진을 정리해 보았다. 왼쪽에 있는 녹색 기차가 주한 유엔군 사령관 전용 객차이다. 주한 유엔군 사령관 전용 객차에 대한 설명이다. 이 설명에 따르면,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공장에서 조립한 객차로 1958년 개조하여 주한 유엔군과 미8군 사령관 전용 개차로 운행하였다고 한다. 또한 귀빈객차 17호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1966년 11월 미국 제36대 존슨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이 객차를 이용했으며, 이를 기념하여 승차권이 발권되기도 하였다고 한다. 옆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비스듬히 바라보았을 때 모습이다. 객차에 들어 갈 수 있는 출입문이 있는 곳이다.
2016. 8. 9. 05:41 경기 지역 문화 산책/의왕 철도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철도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기차 중 대통령 특별동차 관련 자료를 정리해 보았다. 대통령 특별동차의 앞모습이다. 대통령 특별동차에 대한 설명이다. 이 설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대통령 특별동차는 국가원수 의전용으로 제작된 특수차량으로 왼쪽의 것은 1969년 일본에서 도입하였으며, 오른쪽의 것은 경호원 차량으로 1985년 국내에서 제작하였다고 한다. 2001년까지 운행되다가 2014년 5월 박물관으로 옮겨 복원 작업을 거쳤다고 한다. 앞서 설명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었듯이 경호원이 탑승하는 오른쪽 차량에는 차량 앞부분에 봉황이 그려져 있는 표지판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2016. 8. 7. 13:29 경기 지역 문화 산책/의왕 철도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철도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기차 중 협궤객차 관련 자료를 다루어보았다. 협궤객차를 비스듬하게 바라보았을 떄의 모습이다. 마찬가지로 반대편에서 협궤객차를 비스듬하게 바라보았을 때의 모습이다. 협궤객차의 출입문이다. 파란색 페인트가 벗겨져 있다. 협궤객차의 옆모습이다. 협궤객차에 대한 설명에 따르면, 1965년도에 인천공작창에서 신조된 것으로 수려선(수원과 여주) 및 수인선(수원과 송도)에서 1987년 10월까지 운행되었다고 한다.
2016. 8. 6. 16:17 경기 지역 문화 산책/의왕 철도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철도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기차 중 우등형 전기동차 관련 자료를 정리해 보았다. 우등형 전기동차에 대해 설명한 자료에 따르면 우등형 전기동차는 1976년에 제작되어 전철 구간을 신속하게 운용할 수 있게 했다고 한다. 1981년도에는 청량리와 동해 간을 운용하다가 1998년 12월 1일부터 통일호로 운행했다고 한다. 우등형 전기동차의 앞모습을 옆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모습이다. 앞 부분을 좀더 가까이에서 바라보았다. 앞모습을 정면으로 바라보았다.
2016. 8. 4. 06:30 경기 지역 문화 산책/의왕 철도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철도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기차들 중에서 증기 기관차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미카라는 이름을 가진 증기 기관차이다. 미카 증기 기관차의 앞모습이다. 미카 증기 기관차의 옆모습이다. 증기 기관차에 대한 설명을 살펴보면 1940년 8월에 제작되어 부산과 신의주를 비롯하여 전국의 주요 철도 간선에 운행되었다가 디젤 기관차의 등장으로 운행을 중단하였다고 한다. 증기 기관차의 바퀴이다.
2016. 8. 3. 05:47 경기 지역 문화 산책/의왕 철도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철도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기차 중 수도권 전동차 사진을 정리해 보았다. 파란색 수원역 급행 전동차이다. 지금 볼 수 있는 전동차에 비해 겉모습은 다소 투박한 것 같다. 하지만 큰 차이는 없는 것 같다. 설명에 따르면 수도권 전동차는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지하철) 개통과 동시에 일본에서 완성차량으로 도입되어 최초로 운행했던 전동차로 2000년 12월까지 수도권전철 1호선에서 운행되었다고 한다. 노란색과 연두색으로 칠해진 안양 전동차이다. 안양 전동차의 옆모습이다. 안양 전동차의 설명에 따르면 1977년부터 완전 국산화되어 국내에서 제작된 차량으로 1977년 3월 1일부터 2002년 10월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운행되었다고 한다. 앞서 살펴보았던 ..
2016. 8. 1. 14:31 경기 지역 문화 산책/화성 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수원시 수원화성박물관에서 특별기획전으로 열렸던 이방인이 본 옛 수원화성 자료를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다루어보았다. 또 다른 이방인이 찍은 수원화성 격전지 속의 장안문 진 굴드의 수원화성 애정 수원역 앞에서 휴식중인 미군들 팔달문 서쪽 측면 용주사 대웅보전 용주사 임시학교 학생들 용주사 불상과 후불탱화 융릉 정자각 융릉 비각 융릉 앞의 진 굴드 융릉 앞 영문으로 쓰여진 경고문 마빈의 수원화성 여행 로버트 리 월워쓰와 수원 인연 얀스 릭마이어의 수원화성 풍경 분주한 팔달문 밖 거리 재정비하는 팔달문 밖 거리 미군 트럭이 들어 오는 팔달문 무너진 옹성벽에 수풀이 무성한 팔달문
2016. 7. 30. 06:29 경기 지역 문화 산책/화성 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수원 화성박물관에서 특별기획전으로 열린 이방인이 본 옛 수원화성 자료 중 이방인의 책과 그림에 담긴 수원화성의 자료를 다루어보았다. 이방인들의 수원 화성에 대한 호기심 이방인의 책과 그림에 담긴 수원화성 우끼요에로 보는 조선의 풍경 조용한 아침의 나라 고요한 아침의 나라 사계의 조선 경성 풍속사진첩
2016. 7. 29. 06:03 경기 지역 문화 산책/화성 박물관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수원화성 완공 220주년 특별기획전으로 열린 이방인이 본 옛 수원화성 관련 자료를 다루어보았다. 이방인이 본 옛 수원화성 특별기획전은 2016년 5월 12일 목요일부터 7월 17일 일요일까지 진행되었다.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에 대한 설명이다. 독일인 헤르만 산더의 사진 기록에 대한 설명이다. 성 안 마을 전경이다. 화홍문과 수원천의 옛 모습이다. 남수문의 모습이다. 방화수류정의 모습이다. 매향교와 수원사람들의 모습이다. 동남각루에서 바라본 팔달문과 남공심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