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 종로에 있는 고궁인
창덕궁에서 성정각 일원 사진을
정리해 보았다.
성정각 일원에 대한 설명이다.
이 설명에 따르면
성정각은 세자의 공부방이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왕가의 내의원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성정각의 전체적인 모습이다.
성정각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명칭이 영현문으로 되어 있다.
현인을 맞이하는 뜻 같다.
성정각에 들어가면
바로 앞에 있는 건물이다.
보춘정이라고 되어 있는데
봄이 왔음을 알리는
정자라는 뜻 같다.
보호성궁
조화어약
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음으로 보아
의료 업무와 관련된 건물로
사용되었을 것 같다.
보춘정이 있는 높이에서
창덕궁의 정전을 바라보았을 때의 모습이다.
창덕궁의 정전인 인정전의 지붕이 저 멀리 보인다.
보춘정 뒷편으로
누각과 건물이 위치해 있다.
성정각 일원은
창덕궁의 다른 곳과는 달리
누각 등을 비롯한 여타의 건물들이
언덕에 위치한 경우가 있다.
평지에서 창덕궁을 관람한 것과는
다른 묘미를 느낄 수 있다.
'서울 지역 문화 산책 > 창덕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종로에 있는 고궁인 창덕궁에서 궐내각사 사진을 포스팅 하다 (0) | 2016.12.16 |
---|---|
서울 종로에 있는 고궁인 창덕궁에서 낙선재 일원 사진을 포스팅 하다 (0) | 2016.12.15 |
서울 종로에 있는 조선시대 고궁인 창덕궁에서 대조전 일원 사진을 포스팅 하다 (0) | 2016.12.13 |
서울 종로에 있는 조선시대 고궁인 창덕궁에서 희정당 사진을 포스팅 하다 (0) | 2016.12.12 |
서울 종로에 있는 조선시대 고궁인 창덕궁 선정전 일원 사진을 포스팅 하다 (0) | 2016.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