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계속 포스팅하고 있는데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해우재의 정원 자료 포스팅은 아직 진행중이다.
이번 포스팅에서 또한
해우재의 정원 자료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한다.
`
매화틀과 매화 그릇이다.
자료의 설명에 따르면,
조선시대 왕들이 사용했던 것이라고 한다.
조선시대 왕들의 복식문화, 서책문화 등등은
여러 박물관에서 살펴볼 수 있지만,
왕이 사용했던 변기 또는 요강을 살펴볼 수 있는 것은
또 하나의 유익한 점이 아닌가 싶다.
고대로 마변기,
중세유럽변기,
현대식 변기
조형물이다.
모양과 배수 방식에 있어서는 차이점이 있겠지만,
기능의 목적은 아마 같을 것이다.
뒷간과 투막화장실이다.
제주도에 이어서,
울릉도에서 살펴볼 수 있는 화장실 자료를
살펴볼 수 있다.
오줌싸개 조형물이다.
지난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오줌싸개 조형물과는 달리,
아이의 표정과 차림새 등을 통해 볼 때
해학성보다는 사실성에 맞추어서
조형물을 제작했다는 느낌을 받았다.
수원시에 있는 해우재 정원의 자료를 여러 차례 다루었지만,
아직 모든 것을 포스팅 한 것은 아니다.
많으면 세 차례, 적으면 한 차례 정도의 추가적인 포스팅을 할 것 같다.
'경기 지역 문화 산책 > 수원 해우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수원시 이목동에 있는 해우재 2층 자료를 포스팅 하다 (0) | 2016.05.25 |
---|---|
경기도 수원시 이목동에 있는 해우재 정원의 자료를 포스팅 하다 (0) | 2016.05.23 |
경기도 수원시 이목동에 있는 해우재의 정원 자료를 포스팅 하다 (0) | 2016.05.23 |
경기 수원 이목동에 있는 해우재 정원을 포스팅 하다 (0) | 2016.05.23 |
경기 수원 이목동에 있는 해우재를 방문해서 화장실 문화를 살펴보다 (0) | 2016.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