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4. 7. 00:30 서울 지역 문화 산책/왕릉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에서 본격적인 동구릉 관람을 하기에 앞서 볼 수 있는 홍살문과 재실 사진을 담아보았다. 동구를 입구를 들어온 후 5분 가량 걸으면, 큰 홍살문을 볼 수 있다. 아울러 홍살문에 대한 설명도 함께 있다. 홍살문에 대해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데, 정확하게 알게 되어서 좋은 자료인 것 같다. 홍살문에 대한 설명에 따르면, 홍살문은 왕릉의 들머리임을 알려주는 건축적 장치로 이곳을 지날 때는 몸과 마음가짐을 엄숙히 하고, 여기에 모셔진 분들에게 경건한 예를 갖추라는 뜻으로 세워진 것이라고 하는데, 홍전문이라고도 한다고 한다. 커다란 홍살문을 지나면 재실이 나온다. 재실에는 재실에 대한 설명도 있는데 이 설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능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머무는 곳이며, 제례시..
2017. 4. 6. 00:30 서울 지역 문화 산책/왕릉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 입구 사진을 담아보았다. 건원릉, 현릉, 목릉, 휘릉, 숭릉, 혜릉, 원릉, 경릉, 수릉을 일컬어 동구릉이라 한다. 각각 능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포스팅에서 다루어볼 예정이다.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동구릉에 간다면 횡단보도를 만나게 된다. 횡단보도 옆에는 동구릉 입구에 대한 표지판과 동구릉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 그리고 외연지 터와 관련된 자료가 있다. 동구릉은 세계문화유산 유네스코에도 등재되어 있으며 사적 193호이다. 동구릉은 입구에서부터 다수의 관람객들이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관리가 잘 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2017. 4. 5. 00:30 서울 지역 문화 산책/왕릉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선 제 13대 왕인 명종과 인순왕후의 능인 강릉에서 정자각 주변에 있는 비각, 수복방 터, 수라간 사진을 담아보았다. 비각과 수복방 터는 정자각 동쪽에 위치해 있다. 태릉에서는 수복방이 있었는데, 강릉에서는 터만 남아 있어서 아쉬웠다. 비각 안에는 표문이 있다. 다만 태릉에서는 수라간을 보지 못한 것 같았는데, 강릉에서는 수라간을 복원중인 것 같았다. 수라간은 정자각 서쪽에 있다.
2017. 4. 3. 00:30 서울 지역 문화 산책/왕릉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선 제13대 명종과 인순왕후의 능인 강릉에서 홍살문 사진을 담아보았다. 홍살문 뒤로는 정자각과 비각 등이 보이며 복원중인 건물이 보인다. 다만 태릉에서는 비각 옆에 수복방이 있었는데 수복방은 보이지 않는 것 같다. 홍살문 옆에는 강릉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는 안내판이 있는데, 관람하기에 앞서 읽어보면 좋은 것 같다. 홍살문 아래에는 향로와 어로가 있는데, 각각의 길에 대한 설명도 적혀 있다.
2017. 4. 2. 08:36 서울 지역 문화 산책/왕릉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선 제13대 왕인 명종과 인순왕후의 능인 강릉에서 강릉 입구 사진을 담아보았다. 강릉은 삼육대학교 정문 옆에 있는데, 태릉으로부터 도보로 15~20분 가량 걸린다. 강릉 입구 앞에는 강릉에 대한 안내판이 있다. 이 안내판에 따르면, 강릉은 사적 제201호라는 사실과 명종과 인순왕후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적혀 있다. 또한 홍살문 바로 앞에는 금천교가 있는데, 태릉에서는 없었던 것 같다.
2017. 3. 30. 20:12 서울 지역 문화 산책/왕릉
이번 포스팅에서는 봄 기운이 만연해 가는 3월을 마무리하는 즈음에 조선 제11대 중종의 제2계비 문정왕후의 능인 태릉에서 홍살문 사진을 담아보았다. 홍살문을 뒤로 정자각이 보이는데, 정자각까지 가는 길은 향로와 어로가 있다. 다만, 각각의 길에 대해 지켜야 하는 에티켓이 있기에 관람을 목적으로 온 경우라면 어로를 이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또한 홍살문 옆에는 태릉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함께 되어 있어서 태릉을 관람하기 전에 관람객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017. 3. 26. 20:16 서울 지역 문화 산책/왕릉
이번 포스팅에서는 따뜻한 봄이 가까워지는 3월 후반부에 태릉 입구 사진을 담아보았다. 3월 중순쯤에 태릉에 다녀온 후 포스팅을 했었지만, 봄기운이 가까워지는 태릉의 모습은 어떤지 궁금해서 다시 다녀오게 되었다. 3월 중순쯤에 비해서 기온이 많이 올라갔지만, 아직은 쌀쌀했다. 또한 미세먼지 영향으로 인해 공기가 탁한 느낌이 들었다. 잘 알려졌듯이 태릉은 조선 제11대 중종의 제2계비인 문정왕후의 능이다. 지난 포스팅에서 여러 차례 다루었듯이 태릉 입구에는 세계문화유산 유네스코에 등재된 사실을 알려주는 기념비와 사적 제201호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비석이 있다.
2017. 3. 19. 14:52 서울 지역 문화 산책/왕릉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선 제20대 경종과 계비 선의왕후의 능을 볼 수 있는 의릉에서 의릉 입구 사진을 정리해 보았다. 의릉 입구는 서울 지하철 6호선 돌곶이역 7번 출구에서 나온 후에 15~20분 가량을 걸으면 나온다. 의릉 입구에는 세계문화유산 유네스코에 등록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안내판이 있으며, 사적 제204호라는 것을 알려주는 비석도 있다. 또한 관광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조선왕계도와 상설진설도가 있다.
2017. 3. 13. 00:30 서울 지역 문화 산책/왕릉
지난 포스팅까지 태릉의 산책길, 홍살문, 비각, 수복방 등을 다루어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조선왕릉인 태릉에서 정자각 사진을 담아보았다. 정자각에는 정자각에 대한 설명이 있는데, 이 설명에 따르면 정자각은 능에 모신 혼을 모시는 곳이라고 한다. 또한 정자각에는 제수진설도, 제기와 제수, 제향일정 등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를 제시해주고 있다. 또한 정자각 뒷편으로 문정왕후의 능이 보이기도 한다.